“미 협상안에 ‘올해가 을사년’, 기절할 뻔”...‘용산 3실장’ 팩트시트 뒷얘기
페이지 정보

본문
14일 이재명 대통령 유튜브에 ‘케미 폭발 대통령실 3실장’이라는 제목으로 올라온 영상 섬네일(미리보기 사진). 왼쪽부터 위성락(안보실장)·강훈식(비서실장)·김용범(정책실장). 이 대통령 유튜브 채널 갈무리
김용범 “올해가 을사년…진짜 말도 안되는 안”
강훈식 “완강했던 나, 더 완강했던 대통령”
위성락 “마지막에 주요 플레이어들 서로 배려”
대통령실 ‘3실장’이 이재명 대통령의 유튜브를 통해 한-미 관세·안보 협상 후일담을 전했다. 미국의 첫 협상안을 ‘을사조약’에 빗대며 “23차례나 장관급 회담이 있었다” “끝까지 사투했다”는 등의 뒷이야기가 담겼다.
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, 김용범 정책실장, 위성락 안보실장은 지난 14일 밤 이 대통령 유튜브에 올라온 ‘케미 폭발 대통령실 3실장’이란 제목의 영상에 나와, 한-미 협상이 타결됐던 지난달 29일 한미정상회담 앞뒤 상황을 돌아봤다. 이 영상은 전날 한-미 관세·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‘조인트 팩트시트’(공동설명자료)가 발표된 뒤 공개됐다.
먼저 김 실장은 지난 8월 미국 워싱턴디시에서 열린 첫 한미정상회담 뒤 미국이 보낸 협상안에 대해 “올해가 을사년이구나(라는 생각이 들었다). 기절초풍이라고 해야 할지, 진짜 말도 안 되는 안이었다”고 돌아봤다. 미국의 협상안이 꼭 120년 전인 1905년 11월 일본이 대한제국의 국권을 불법으로 빼앗은 을사조약을 떠올리게 할 정도였단 것이다.
김 실장은 “완전 최악이었다. 미국 측도 (도널드 트럼프) 대통령이 (한국에) 오는데 우리와 입장이 안 좁혀지니 엄청 화를 냈고, 그런 것들이 우리에게도 전달됐다”며 “적어도 감내가 가능한 안을 위해 끝까지 사투했고 강경하게 마지막까지 대치했다. ‘더는 양보가 안 된다'는 우리의 선이 있었다”고 전했다.
강 실장은 그동안 “(한-미 사이에) 23차례나 장관급 회담이 있었다”며 “정책·안보실장은 주로 진척이 있는 것에 대해 (내부) 설득을 하는 편이었고, 제가 제일 완강한 입장에 서 있었다. 더 완강한 건 대통령이었다”고 전했다.
위 실장은 협상이 극적 타결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“주요 플레이어들이 마지막 순간에 입장을 재고하고 상대를 배려해 서로가 물러섰다. 결과적으로는 잘 됐다”며 “첫째로 대통령이 대처를 잘했고, 참모들도 지혜를 모아 대처 방안을 잘 궁리했다”고 평가했다.
김용범 “올해가 을사년…진짜 말도 안되는 안”
강훈식 “완강했던 나, 더 완강했던 대통령”
위성락 “마지막에 주요 플레이어들 서로 배려”
대통령실 ‘3실장’이 이재명 대통령의 유튜브를 통해 한-미 관세·안보 협상 후일담을 전했다. 미국의 첫 협상안을 ‘을사조약’에 빗대며 “23차례나 장관급 회담이 있었다” “끝까지 사투했다”는 등의 뒷이야기가 담겼다.
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, 김용범 정책실장, 위성락 안보실장은 지난 14일 밤 이 대통령 유튜브에 올라온 ‘케미 폭발 대통령실 3실장’이란 제목의 영상에 나와, 한-미 협상이 타결됐던 지난달 29일 한미정상회담 앞뒤 상황을 돌아봤다. 이 영상은 전날 한-미 관세·안보 협상 결과를 담은 ‘조인트 팩트시트’(공동설명자료)가 발표된 뒤 공개됐다.
먼저 김 실장은 지난 8월 미국 워싱턴디시에서 열린 첫 한미정상회담 뒤 미국이 보낸 협상안에 대해 “올해가 을사년이구나(라는 생각이 들었다). 기절초풍이라고 해야 할지, 진짜 말도 안 되는 안이었다”고 돌아봤다. 미국의 협상안이 꼭 120년 전인 1905년 11월 일본이 대한제국의 국권을 불법으로 빼앗은 을사조약을 떠올리게 할 정도였단 것이다.
김 실장은 “완전 최악이었다. 미국 측도 (도널드 트럼프) 대통령이 (한국에) 오는데 우리와 입장이 안 좁혀지니 엄청 화를 냈고, 그런 것들이 우리에게도 전달됐다”며 “적어도 감내가 가능한 안을 위해 끝까지 사투했고 강경하게 마지막까지 대치했다. ‘더는 양보가 안 된다'는 우리의 선이 있었다”고 전했다.
강 실장은 그동안 “(한-미 사이에) 23차례나 장관급 회담이 있었다”며 “정책·안보실장은 주로 진척이 있는 것에 대해 (내부) 설득을 하는 편이었고, 제가 제일 완강한 입장에 서 있었다. 더 완강한 건 대통령이었다”고 전했다.
위 실장은 협상이 극적 타결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“주요 플레이어들이 마지막 순간에 입장을 재고하고 상대를 배려해 서로가 물러섰다. 결과적으로는 잘 됐다”며 “첫째로 대통령이 대처를 잘했고, 참모들도 지혜를 모아 대처 방안을 잘 궁리했다”고 평가했다.
- 다음글시진핑은 왜 ‘구형 샤오미폰’을 이 대통령에게 선물했을까 25.11.02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